목록Study Materials (213)
KoreanFoodie's Study

1. 비교 형용사 중에서 수량·분량·성질·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은 그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어형을 바꾼다. 이러한 변화를 형용사의 비교라고 하며, 다음 세 가지가 있다. (1) 원급 : 단순히 성질·수량을 나타낸다. George is a tall boy. (George는 키가 큰 소년이다.) (2) 비교급 : 두 가지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. George is taller than Mary. (George는 메리보다 키가 크다.) (3) 최상급 : 셋 이상 사이의 최고를 나타낸다. George is the tallest boy in his class. (George는 반에서 키가 가장 크다.) 2. 형용사의 비교급·최상급을 만드는 법 (1) 규칙 변화 ① 1음절의 단어 tall - taller - tal..

1. 주어와 술어동사의 일치 주어와 술어동사는 인칭과 수가 일치하여야 한다. 이 호응을 일치(concord)라고 한다. 주어의 형태가 단수라도 의미가 복수이면 복수로 취급하고, 형태는 복수라도 의미가 단수이면 단수로 취급한다. (1) 두 개 이상의 단수 주어가 and로 연결되면 복수로 취급된다. He and I are great friends. (그와 나는 절친한 친구다.) (2) 두 개의 주어가 either∼or, neither∼nor, not only∼but also로 연결된 경우에는 후자의 주어와 인칭의 수가 일치한다. Either you or I am to go. (너와 나 둘 중의 하나는 가야 한다.) Neither you nor he is wrong. (너도 그도 누구도 틀리지 않는다.) No..

1. 1문장 1동사 단문 기준 한 문장에 동사는 무조건 1개가 있어야 하며, 또한 1개 밖에 들어갈 수 없다. 따라서 동사의 개수가 증가되기 위해서는 연결사(접속사, 관계사, 의문사)가 필요하다. “연결사개수 + 1 = 동사개수” 2. 수일치 1) 주어에 대한 동사의 수 일치 2) 주격관계대명사에 대한 동사의 수 일치 (선행사에 일치시킬 것) 3) 명사에 대한 대명사의 수 일치 (비교 지시 대명사 단수 that, 복수 those) 3. 태 수동형(동사의 수동태, 수동부정사, 수동동명사, 수동분사)에는 목적어가 없다. 단, 4형식 동사는 제외 (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의 경우 보류목적어가 존재할 수 있다.) 또한, 5형식 수동태에서 발생하는 주격 명사 보어를 주의할 것 4. 법 가정법과거, 가정법과..